arp spoofing 정리
1. GW Spoofing (Request) : 엔포서가 단말과 게이트웨이사이에서 게이트웨이를 찾는 arp 를 날렸을때, 게이트웨이의 mac이라고 속여 스푸핑.
2. GW Spoofing (Reply) : 해당만 테스트하면 복구 패킷이 들어오지 않아 reply 방식 테스트는 ip spoofing 과 동시 테스트. 결과는 reqeust 와 동일.
3. IP Spoofing (Request) : 게이트웨이와는 다르게 외부와는 통신이되지만 그외 내부망 단말 사이에서의 mac을 속여 스푸핑하는 방식.
4. IP Spoofing (Reply) : 해당만 테스트하면 복구 패킷이 들어오지 않아 reply 방식 테스트는 ip spoofing 과 동시 테스트. 결과는 reqeust 와 동일.
5. GW Double Spoofing (Request) : GW 스푸핑, GW 더블 스푸핑, IP 스푸핑 체크 후 진행 // GW에겐 단말 PC의 MAC이 엔포서 MAC이라고 속이는것이 GW 더블 스푸핑.
6. GW Double Spoofing (Reply) : 동일한데 방식만 reply
7. IP Double Spoofing (Request) : 엔포서가 테스트PC와 내 PC의 대한 MAC주소를 서로 바꾸려하는게 ip 더블 스푸핑.
8. IP Double Spoofing (Reply) : 동일한데 방식만 reply
댓글남기기